마을이야기
안내면 도율리
도율리(道栗里)는 도촌(道村)과 율티(栗峙)가 합하여진 마을로서 옛기록에 이 마을만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곳이다.
마을이름유래
도율리라 이름 짓게 된 것은 두 마을을 합치면서 도촌마을의 도(道)자와 율티의 율(栗)자를 한자씩 취하여 도율리라 칭하게 되었다. 도촌은 원래 “도가실”을 한자화할 때 발음대로 “도”를 길도(道)로, “실”을 마을촌(村)으로 사용하여 도촌(道村)으로 부르고 있으나 사실은 옥천~보은의 옛길은 이곳을 지나 월외~장선~동정~회인(보은)으로 가는 길목이었기 때문에 상인들이 쉬어가거나 물건을 받아가는 도가(都家)가 있어 이 마을을 도가실이라 하였다. 율티는 옛말로 “밤티”를 한자화하여 밤율(栗) 고개티(峙)를 써서 율티라고 하였다. 이곳을 “밤티”라고 부르게 된 것은 앞뒤로 산이 높아 농작물이 잘되지 않아 식량 걱정이 많게 되자 온 마을이 밤나무를 심게 되어 밤티라 불리게 되었다.
마을역사
- 1914년 : 행정구역 일제조정때 도가실과 밤티를 합하여 도율리라 이름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마을이야기
도가실은 본래 청주한씨(淸州韓氏)의 집성촌이었으며, 밤티는 밀양박씨(密陽朴氏)가 세거하고 서남쪽 산줄기 끝에 김옥균의 조상 묘가 있다는 용문산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