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757~
-
1
757신라 초 굴산현이라 불리던 청산면은, 경덕왕 16년인 757년에 기산현이라 고치고, 삼년산군(현재의보은군)의 영역으로 하였다.
-
2
940고려 태조 23년인 940년 청산현으로 변경 하였다.
-
3
1018고려 현종 9년인 1018년 상주목의 직속으로 행정구역을 개편 하였다.
-
4
1413조선 태종 13년인 1413년 행정구역제도가 일대 개편 될 때 경상도서 충청도로 이관되면서 충청도 10현중의 하나인 청산현이 되고 현감으로 종6품과, 향교에서 가르치는 훈도로 종9품이 각각 배치되었다.
-
5
1739청산현 현내면에 백운동리, 저전리, 하동리, 장위리와 북면에 만월리, 대사전리, 예곡리의 3개리와 동면에 가지리, 효림리, 인정리 등 3개 리등 3개 면에서 10개 리를 관할하였다.
-
6
1895청산현이 청산군으로 잠시 승격되어 군청이 있다하여 군내면이라 하여 평상, 교동, 백운, 상지전, 하지전, 하동, 천서, 자매, 학촌, 신평, 덕곡, 대사, 장위 등 3개 리를 관할하였다.
-
7
1914군면 폐합에 따라 동면의 가지, 의동, 한곡, 효림, 목동, 판수, 인정의 7개 리와 북면의 내례곡, 외례곡, 가삼, 사방, 명월, 척치, 법곡, 화동, 성촌, 대사전, 월남, 상만월, 하만월 등13개 동리와 군내면의 국화동을 병합하여 청산군의 이름을 따서 청산면이라 하여 옥천군에 편입시켰다.
-
8
1995의지, 효목, 판수, 한곡, 인정, 교평,백운, 지전, 예곡, 삼방, 명티, 법화, 대성, 만월리 등 18개 리로 개편 오늘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