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면 누구나 함께 이용 할 수 있는
공공데이터 개방
을 소개합니다!
*공공데이터는 개방 의미를 내포
-
공공데이터의 정의
데이터베이스, 전자화된 파일 등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목적을 위하여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광(光)또는
전자적 방식으로 처리된 자료 또는 정보 -
개방의 의미
공공기관이 이용자에게 공공데이터를 활용할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고, 제공받은 공공데이터를 영리적·비영리적으로 이용할
권한을 부여하는 것
공개와 개방·제공 비교
국민이면 누구나 함께 이용 할 수 있다.『공공데이터는 개방 의미를 내포』
구분 | 공개(정보공개법) | 개방·제공 |
---|---|---|
목적 | 국민 알권리 충족과 행정 투명성 제고 | 공공데이터의 민간 활용을 통한 국민편의 향상, 신규 비즈니스 및 일자리 창출 |
대상예시 | 기관장 업무추진비, 출장내역 등 | 실시간 교통정보, 날씨정보, 위해식품정보, 관광정보 등 |
공공데이터 개방의 중요성
- 현재, 사회는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사회로 패러다임 변화
- 공공데이터는 데이터 간 융복합 및 빅데이터 활용 촉진을 통해 국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 지원
데이터개방 표준화 구축(안)

데이터개방 표준화 구축(안)-제공자:공공(부처·지자체·공공기관 등) → 공공데이터 관리·제공(데이터목럭, 표준 메타데이터, 라이센스, 데이터 품질관리 등 → 데이터셋, 제공물(위젯등, Open Apls, 문서·정보 등). 수요자:민간(국민·기업·개발자 등) → 공공데이터 포털(데이터 등록·입력, 검색 및 연계, 데이터 시각화, 전문 컨설팅, 시민참여/피드백, 활용사례 등록·제공, 성장기업 발굴·지원, 구인·구진 네트워크 → 다운로드, 앱개발, 비주얼화, 웹서비스, 구민·구진, 전문컨설팅) ← 피드백, 협력·협의, 아이디어 제공. 커뮤니티(개발자·동호회 등):농업분야, 교육분야, 보건분야, 에너지 분야 → 신규 비즈니스 분야(복지·교통·환경·기상·지리·부동산·관광·에너지), 기술개발 업체(데이터·클라우드·솔루션·그래픽·지도제작·API). '나누자 데이터, 누리자 행복'
이미지 확대보기